렌틸을 왜 팥으로 번역했나요?(창세기 25장 34절)
- 100문 100답/번역
- 2021. 12. 30. 22:25
질문
창세기 25 : 34
야곱이 <떡과 팥죽을> 에서에게 주매 에서가 먹으며 마시고 일어나서 갔으니 에서가 장자의 명분을 경홀히 여김이었더라 (개역한글)
그리고 나서 야곱이 에서에게 <빵과 팥죽을> 주었더니, 그가 먹고 마시고 일어나서 자기 길을 갔더라. 이같이 에서가 자기의 장자권을 경시하였더라. (한글킹제임스성경)
Then Jacob gave Esau <bread and pottage of lentiles;> and he did eat and drink, and rose up, and went his way: thus Esau despised his birthright. (영어)
렌틸과 팥은 엄연히 다른 작물인데 렌틸을 왜 팥으로 번역했는지 궁금합니다.
렌틸과 팥은 같은 콩 종류이고, 렌틸을 먹어보신 분들 말에 의하면 팥과 비슷한 맛이 난다고는 합니다.
100년 전에 빵이 생소할 때 빵을 떡으로 번역한 것처럼, 단지 렌틸이 한국에서 낯설다는 이유로 렌틸을 팥으로 번역하신 건가요?
팥이 적절한 번역어라면 사무엘하 23 : 11 에서는 왜 녹두인가요? 물론 렌틸이 녹두하고도 비슷한 맛이 난다고는 합니다.
답변
렌즈콩은 우리말로 된 정확한 "대응어"가 없기 때문에 팥이나 녹두로 되어야 하는 게 맞습니다. 우리 민족의 정서상 야곱처럼 집에서 끓이는 죽이라면 팥죽이 더 친숙하므로 팥죽으로 번역되었습니다.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할 때에는 "수용언어"라는 기준으로 번역됩니다. 수용되고 있는 언어에서 번역의 답을 찾은 것입니다.
추천 도서
http://www.biblemaster.co.kr/shop/item.php?it_id=9788992164801
'100문 100답 >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수라는 번역은 틀린 번역인가요? (0) | 2021.12.31 |
---|---|
하늘을 하늘들이라고 표현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베드로후서 3장 5절) (0) | 2021.12.30 |
babe와 child는 같이 쓸 수 있는 단어인가요?(마태복음 2장 11절) (0) | 2021.12.30 |
성령을 Spirit이 아닌 spirit으로 기록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0) | 2021.12.29 |
예레미야가 하지 않은 말을 왜 인용하셨나요?(마태복음 27장 9절) (0) | 2021.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