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시편 119편을 보니 알렙 베드 기멜 달렛..타우까지 총 22개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사이트를 찾아보니 알렙은 시내 사본으로 변개된 성경으로 보고 계시던데 시편 119편에 나오는 이들 분류가 무엇을 의미하고 어떻게 되는지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시편 119편에 매 여덟 절마다 붙어있는 "알렙, 베드, 기멜, 달렛..."은 히브리어 알파벳입니다.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알렙"에 해당되는 여덟 절은 매 절이 알렙으로 시작되고, "베드"에 해당되는 여덟 절은 매 절이 베드로 시작합니다. 이렇게 22개의 알파벳이 176절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것을 시문학에서는 "두운"이라 하지요. 시편도 시이기 때문에 이런 문학적 형식이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이 임의적으로 만든 문학이 아..
질문 고전 15:55에 보면 ´....오, 음부야, 너의 승리가 어디 있느냐?´라고 말씀합니다. 몸의 부활을 다루는 곳에서 ´무덤´이라고 번역하지 않고 ´음부´라고 번역된 이유가 무엇일까요? 음부라는 단어가 구약에서는 ´지옥´을 의미하는 구절들이 몇 개 있어서 정의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물론 행2장 전까지는 골2:11의 일이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구약에서는 몸과 혼을 동일시 하곤 합니다만 고전15:55에서 ´무덤´이라고 번역되지 않아서 ´스올´이나 ´지옥´ ´음부´의 단어들을 정립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답변 음부란 grave 에 해당하는 단어를 번역한 것입니다. 이는 보통 무덤이라고 말하지만, 물리적인 무덤은 보통 tomb 라고 하지요. grave를 무덤이라 할 때는 상징적인 개념에서..
질문 평소에 킹제임스 성경을 꼭 한번 읽어 보고 싶었는데... 어제서야 구입을 하고 가장 정확하고 권위 있다고 강조하시길래 많은 기대를 하고 읽다가 창세기 10장에서 멈춰 서고 말았습니다. "셈은 모든 에벨 자손의 조상이요, 형 야펫의 동생이라." 보통 노아의 세 아들이라고 하면, 항상 셈, 함, 야벳. 이런 순으로 나옵니다. 그리고 그동안 제가 읽었던 개역 성경에서는 창세기 10:21에 셈이 야벳의 형이라고 나오기에 그렇게 알고 있었던 저에겐 꽤나 큰 충격으로 다가왔습니다. 보통 셈, 함, 야벳 이런 순으로 나열을 한다면 셈이 제일 큰아들이라고 통상적으로 생각하지 않나요? 근데 창세기 10장에는 킹제임스성경이나, 기존 개역한글이나 세 아들들의 자손들을 열거하면서 야벳을 제일 먼저 소개하고 있다는..
질문 "밝혀진 피터 럭크만주의"라는 책을 보고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이 책을 읽고 오히려 영감으로 기록된 성경이 섭리로 보존되었기에 동등한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킹제임스성경이 번역될 당시 또 영감을 받았다고 럭크만 목사님이 주장 하셨다는데(저자 하이머박사의 글 중) 그 주장에 대해서 바이블마스터의 입장은 어떤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피터 럭크만 목사님은 킹제임스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사실을 가장 정확하고 체계적이며 권위 있게 주장하는 사람 중 하나입니다. 그러다 보니 킹제임스성경 외 다른 성경들을 주장하거나, 킹제임스성경의 절대성을 믿지 않는 학자들에 의해 많은 비평을 받게 됩니다. 그러한 비평 중에는 럭크만 목사님의 주장을 필요 이상으로 비..
질문 요한복음 4장의 대화 중에 여인은 예수님을 주님으로 인식하시 못하는 단계이고, 예수님을 어떤 유대인의 한 젊은 랍비 정도로 인식한 상태에서 논쟁을 벌입니다. 그러다 예수님이 자기의 과거를 맞추자 그 때서야 한 선지자로 높여서 인식을 합니다. 그리고 나서 여자가 메시야를 논할 때에 예수님이 26절에서 ″내가 그로다″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그때야 비로소 메시야로 인식하지 않았겠냐는 생각이 듭니다. KJV 영어 성경에는 4:9(him),11(him,sir),15(him,sir),19(him,sir),25(him) KJV 한글 성경에는 4:9(주께),11(주께,주여),15(주께,주여),19(주께,주여),25(주께) 이 여인 입장에서는 26절(내가 그니라)이전까지는 랍비 정도로 인식했을것 같음 요..
질문 보통 성경에서´영생´은 eternal life인데, ´life eternal´ (요 12:28) 또는 ´eternal life´와 ´everlasting life´(롬 6:22~23)가 혼용으로도 쓰이는 예를 봅니다. 무슨 차이라도 있는 것인지요? ´life eternal´도 본 것 같은데요? 매양 적확한 답변 주시는 것을 감사합니다 답변 'eternal life, life eternal, everlasting life' 이런 용어들은 모두 영생 혹은 영원한 생명(같은 말입니다.)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교리적인 차이는 없으며, 킹제임스성경에서는 "같은 말을 다양한 용어"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그런 예입니다.
질문 말씀보존학회에서 귀신은 없다고 그러지 않았나요? 그런데 한글킹제임스성경에서도 귀신이라는 단어가 발견되었습니다. ˝또 돌아다니며 귀신을 쫓아낸다고 하는 어떤 유대인들이 악령들린 사람들에게 주 예수의 이름을 불러서 말하기를 "우리가 바울이 전파하는 예수로 너희에게 엄명하노라.˝고 하였더라." 이 구절에 ˝귀신˝이란 단어를 쓰신 이유가 뭘까요? 답변 킹제임스성경에서는 "귀신"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우리 말에서 ˝귀신˝이란 죽은 자의 혼령을 말하는 단어이기 때문입니다. 성경에서 죽은 자의 혼령이 떠도는 예는 없으므로 성경에서 말하는 악령들이 귀신일 수는 없습니다. 반면 개역성경에서는 악령들을 귀신이라 번역함으로써, 교리의 혼동을 주고 있습니다. 다만, 한글킹제임스성경에..
질문 우리나라에는 성경이 언제 처음으로 들어왔나요? 번역 시기적으로 개역성경이 먼저인지 한글킹제임스성경이 먼저인지도 궁금합니다. 답변 우리나라에 처음 성경이 들어온 것은 1882년, 누가복음이 처음으로 번역되었습니다. 1911년에 신구약이 완간되고 1938년에 개역을 했는데, 그래서 개역성경이라 부릅니다. 하지만 이 성경은 원문 선정부터 잘못된 성경입니다. 또한 중국어에서 번역되어 번역상의 오류도 많습니다. 반면 한글킹제임스성경은 바른 원문에서 번역되었고 1994년에 신구약 완간되어 출간되었습니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그분의 선지자들과 사도들을 통해 기록하신 이후, 성경을 사랑하는 사람들에 의해서 철저히 보존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이단 사상을 지닌 교부들 및 로마카톨릭에 의해 상당 부분 의도..
질문 성경을 보면 글자 체가 계속 같은 게 아닌데요. 왜 그런 걸까요? 인쇄상 오류? 답변 한글킹제임스성경에는 몇몇 단어에 대해 글자체를 달리하고 있습니다. 고딕체를 쓰는 특별한 단어들이 있는데, 이는 인지명 같은 모든 고유명사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1. 삼위일체 하나님과 사탄에 대해서 그렇게 특별하게 표현했습니다. 하나님, 주, 예수, 그리스도, 성령, 위로자 등은 모두 고딕체로 표기했습니다. 그 중 원어(히브리어)에서 여호와를 가리키는 "주"의 경우는 진한 고딕체로 표기했습니다. 영어 KJV도 일반적인 주는 "Lord"로, 여호와를 가리키는 주는 "LORD"로 표기합니다. 2. 영어 킹제임스성경에서 일반명사로 쓸 수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별히 ..
질문 사도행전 19장 37절의 hieron을 NIV에서는 temples 라고 번역했고, 개역성경에서는 '전각' 그리고 표준새번역 개정판에서는 '신전'이라고 번역했습니다. 그런데 킹제임스성경에서는 church를 '교회들'이라고 번역했을까요? 전후 문맥으로 보아, 당시 에베소에 교회가 있었을 리는 없고, 신전이라고 번역해야 정확한 번역이 되지 않을까요? 답변 맞습니다. 사도행전 19:37의 에베소에 있던 그것은 이방 신전입니다. 하지만 이를 "교회"(church)라고 번역한 것은 매우 의미있는 것입니다. 이는 "교회"라는 단어가 지니는 다양한 의미를 말해줍니다. 교회라는 말은 일차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몸을 가리킵니다. 또한 여러 지역 교회들을 가리킵니다. 하지만 간혹 다른 용례가 있습니다. ..
질문 보통의 한글 성경에는 하나님의 명칭이 "여호와, 하나님, 주, 그리스도...등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영어 성경은 "여호와"와 "주"를 구분 없이 "Lord"라고만 썼어요. 한글판 KJV 성경도 마찬가지로 "주"라고 표시 했던데(예를 들어 "여호와는...이 아니고 ..주는 나의 목자시니..시23..")... 왜 그런 걸까요? 원본이 아닌 이상 모든 번역본이 차이는 있겠지만 일점일획도 변치 않는다고 하셨는데 번역할 만한 마땅한 같은 단어가 없는것도 아니고 여호와는 Jehova로 분명하게 표기될 수 있는 단어인데 서로 다르게 해석한다는 게 이해가 안 가요. 답변 히브리어로 "여호와 "에 해당하는 단어는 "욧-헤-와우-헤 "(YHWH)라는 네 개의 자음 철자로 이루어진 말입니다. 여기에..
질문 한글킹제임스를 보면 기존 개역에서 보던 명칭들이 다르게 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가나안-> 카나안 , 헷 -> 힛 , 브리스 -> 프리스 등등 말이죠. 이렇게 명칭을 변경한 이유를 알고싶습니다. 개역과의 차별성을 위한 것인가요? 좀 더 원어에 가깝게 쓸려고 했다면 요한이나 마가 마태 등의 신약의 사도 이름은 원어에 맞게 변경하지 않았는지요? 지역에 대해서만 변경을 한 것인가요? 답변 한글킹제임스성경은 인지명에 대해 자세한 음역을 했습니다. 기존 개역성경은 중국어에서 번역한 것이 이어져 내려온 것입니다. 한자를 우리가 읽을 때에 보면 격음이 많지 않습니다. 그런 전통 때문인지 개역성경에서는 ㅋ,ㅌ,ㅍ 등을 ㄱ,ㄷ,ㅂ 등으로 음역했습니다. 그래서 여러 모로 어색해 보입니다. 현재 통용되..
질문 사본에 관한 신학 서적을 읽어 보니 오리겐의 6란 성경이 자주 거론 되더군요. 6란 성경이 무슨 뜻입니까? 6개의 서로 다른 성경이란 뜻일까요? 히브리어, 헬라어, 영어, 라틴어, 한글, 일어로 쓴 것을 말하나요? 답변 육란성경이란 오리겐이 만든 것인데, 여섯 개의 난(column)으로 편집된 성경입니다. 각 난에는 서로 다른 번역본을 제시함으로써 대역성경을 이루고 있습니다. 첫번째 난에는 히브리어 구약이 기록되어 있고, 두번째 난에는 구약성경을 헬라어로 음역한 헬라어 음역본이 있으며, 세번째 난에는 아퀼라(Aquillar, A.D.95-135)가 번역한 것, 네번째 난에는 심마쿠스(Symmachus, A.D.160- 211)가 번역한 것, 다섯번째 난에는 오리겐 자신이 번역한 것, ..
질문 시편32편 9절(개역성경)을 통해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사랑을 깨달았습니다. 장기간 방황하다가 하나님께 나온터라 하나님의 징계가 조금은 두려웠지요. 위 구절은 재갈과 굴레에 대한 사전 경고장이면서 또한 굴레라는 징계를 내리지 않겠다는 메세지로 내 맘에 강하게 다가왔습니다. "말, 노새처럼 되지마라. 꼭 재갈을 물려야 내게 오겠느냐? 경고를 깨닫고 내게 나아오라"..... 그런데 킹제임스성경에는 반대되는 뜻으로 되어 있어서 의아스럽습니다. 하나님과 나, 나와 노새라는 관계를 놓고 생각할 때 하나님께 과연 가까이 오지말라는 뜻으로 해석된다면 상당한 오류가 아닐까 생각되고 많이 혼란스럽습니다. 원어를 모르니 직접 확인해 볼 수도 없고해서 문의드립니다 답변 시편 32:9 한글킹제임스성경 개..
질문 성경이 번역된 역사에 대해 간단히 알려주세요 답변 성경 번역의 역사에는 두 가지 역사가 있습니다. 하나는 바른 성경이 보존되어온 역사이고 다른 하나는 바른 성경이 변개되어 가는 역사입니다. 바른 성경의 역사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1) 바른 성경의 역사 신약성경은 “그리스도인”이라는 이름이 처음으로 시작된 시리아의 안티옥(행 11:26)을 기점으로 해서 소아시아와 지중해 연안 지방으로 확산되어 갔고, 콘스탄티노플을 거쳐 독일과 영국 등지로 전해졌습니다. 이렇게 전달된 성경은 그리스도인들의 손을 거쳐오면서 변개(變改, perversion)되지 않고 잘 보존되었습니다. 이것은 전통원문, 비잔틴 원문, 혹은 다수 원문 등으로 불렸고, 에라스무스(1516,1535), 스테파누스(1550..
질문 보존된 유일한 성경이 한글킹제임스성경이라고 하시는데 그 증거가 무엇입니까? 답변 한글킹제임스성경이 보존된 성경이라는 것을 많은 필사본들이 입증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증거는 소문자필사본(Cursives / Minuscules)입니다.(헬라어 소문자로 기록된 필사본) 소문자필사본들은 신약 필사본들의 절대 다수를 구성하고 있으며, 헬라어 , 영어 , 그리고 의 본문이 올바르다는 사실을 증거하고 있다. (이들 필사본들이 제시될 경우의 99%가 이 사실을 입증해 주고 있습니다.) 두 번째 증거는 성구집(Lectionaries)입니다.(매주 혹은 특정한 날에 낭독하도록 성경 구절들을 발췌해 놓은 필사본) 기본적으로 헬라어 성구집의 본문들은 헬라어 의 근거가 된 비잔틴 본문을 제시하고..
질문 영어킹제임스성경은 누가 번역했죠? 어떻게 번역이 됐나요? 사용된 사본을 어떤 걸 썼을까요? 답변 영어킹제임스성경이 나오게 된 배경이 궁금하시군요. 킹제임스성경의 역사에 대한 글을 올려 드립니다.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킹제임스성경을 번역하게 된 계기 "햄프튼 왕궁회의" 엘리베스 여왕 통치 시대가 끝나갈 무렵(1558-1603) 새로운 성경 역본을 만들기 위한 의회의 조례안이 나오게 됩니다. "영어로 되어 있는 성경들의 다양성을 줄여서 원문으로부터 번역된 단 하나의 영역본을 만들기 위한 조례"가 바로 그것입니다. 1568년에 나온 비숍 성경(The Bishop's Bible)이 비록 그레이트 성경(The Great Bible)을 압도하기는 했으나 제네바 성경과는 여전히 경쟁을 벌..
질문 박창환 교수가 쓴 "텍스투스 리셉투스의 정체" 논문을 읽었는데요 지금까지 말씀보존학회에서 배워온 것과는 이야기가 다릅니다. 둘의 차이를 어떻게 봐야 하죠? 답변 관련된 글을 가져왔습니다. 잘 비교해 보시길 바랍니다. "박창환 교수의 「텍스투스 리셉투스(Textus Receptus)의 정체」를 읽고" (, 대한성서공회 간, 1997년 8월, 제1호, 11-32페이지) 기독교계의 몇 가지 문제점들을 든다면 첫째, 성경을 가르쳐서는 안되는 사람이 성경을 가르치는 데 있다. 이 점은 설교도 마찬가지이다. 설교를 할 줄 모르는 사람이 설교를 함으로써 많은 오류들을 만들어 내고 있다. 둘째, 이들은 하나님의 일꾼으로 자처하고 하나님의 사역을 들먹거리며 밥을 먹고 살면서도, 하나님을 대..
질문 개역한글판성경은 수정을 얼마나 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개역한글판성경은 총 72,712곳을 수정했습니다. 신약에서 12,823곳을 수정했고, 구약에서 59,889곳 수정했습니다. 다음은 개역한글판을 펴낸 성서공회에 대한 글입니다. 과거에 우리 나라는 이승만 독재 정권을 연장시키려는 무리들로 인하여 민주 공화 정치가 유명무실하게 되었었다. 이들 정권의 수혜자들은 기생충처럼 서식하면서 국민의 권리와 자유를 유린하면서까지 자기들의 방종과 안일을 위해 정권 연장을 획책했다가 급기야 4.19 학생 의거를 맞았고, 이승만 독재 정권은 무너졌다. 그 다음 박정희 군사 정권 역시, 국토와 국민을 수호해야 할 군인들이 무기를 앞세워 정권을 잡더니, 권력을 맛본 군인들이 정치에 판을 치고..
질문 신약성경은 예수님 믿고 따르는 사람들과 그 제자들을 통해서 보존되어 왔다면 구약성경은 어떻게 보존되어 왔나요? 답변 성경의 보존에 대해 논할 때 먼저 알아야 할 것은 구약의 원문비평과 신약의 원문비평 사이의 차이점입니다. 구약의 "교회"는 하나님께서 선정하신 아론의 계열을 따른 제사장 그룹을 통해 보존하셨습니다. 성령님께서는 이러한 제사장들을 인도하셔서 구약의 흩어진 부분들을 하나의 구약 성경으로 모으게 하셨고, 구약 성경의 순수성을 유지하게 하셨습니다. 반면에 신약의 교회는 이러한 특별한 제사장 그룹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보혈로 인해 더이상 존속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성령님께서는 특별한 제사장 그룹들을 통해 성경을 보존하지 않으시고 제사장직을 수행하는 그리스도인들을 통..
질문 1994년 한글킹제임스성경이 나오기 전에도 성경은 충분히 많이 있었지 않나요? 그런데 한글킹제임스성경을 번역하게 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답변 한국 교회에 바른 성경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최초의 우리말 성경인 부터 가장 최근의 한글 번역본들에 이르기까지 제도화된 교단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한글 성경 번역의 역사는 성경 변개의 역사입니다. 을 제외한 한글 번역본들은 변개된 원문에서 번역되었을 뿐만 아니라 수많은 오류들을 양산해 냈습니다. 이렇게 우리말 성경을 비뚤어진 길로 가게 한 주범은 다름 아니라 성경을 번역, 출간한다는 대한성서공회와 그들과 함께한 교계 지도자들입니다. 변개된 성경으로 인해 한국 교회는 비성경적인 한국식 기독교가 되었으며, 성경적 교리와 신앙은 거의 찾아보기 어..
질문 성경을 대하는 자세는 정말 천차만별인 거 같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인간의 저작물이라고 주장하고, 어떤 사람들은 신이 기록한 것이라고 말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저 이곳저곳의 소설을 합친 것이라고 말합니다. 성경을 대하는 데 있어서 어떤 자세를 갖는 것이 옳을까요? 답변 우리는 성경을 대할 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첫째는 성경은 하나님께서 기록하신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것입니다. 성경(聖經, The Bible)은 인간의 저작이 아니라 살아 계신 전능한 하나님의 말씀입니다.(히 4:12, 벧전 1:23) 성경은 절대적인 진리이며(요 17:17), 모든 문제를 판단하는 최종권위(最終權威, final authority)가 됩니다. 따라서 우리는 성경을 대할 때..
질문 NKJV vs KJV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최근에 나온 번역본이 더 옳지 않을까요? (더 발달된 사전 시스템이 있으니깐요) 답변 뉴킹제임스성경이 저지른 변개의 정도는 결코 적지 않습니다. 이 성경을 펴낸 편수자들은 을 쉽게 만들어 놓은 것이라고 거짓말을 하나, 사실은 수정하는 과정에서 변개된 알렉산드리아 계열의 필사본들을 많은 부분 수용하고 있습니다. 이 성경이 변개시킨 부분을 보면 다른 역본들의 변개와 거의 다를 것이 없습니다. 몇 가지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1) 마태복음 7:14 KJV NKJV Because narrow is the gate, and narrow is the way, which leadeth unto life...(생명으로 인도하는 문은 좁고 또 그 길이 협..
질문 “뉴(New)킹제임스성경”은 1982년에 나온 것입니다. 1611년 판보다 더 정밀하게 번역이 이루어졌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1611년판보다 더 정확하지 않겠습니까? 답변 이런 주장은 진화론적인 사고에 호소하여 사람들을 속이는 것입니다. 물론 나중에 만들어진 것이 앞선 것보다 좋게 만들어지는 사례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경우가 이와 같지는 않습니다." 과학이나 기술의 발전은 오래된 것보다 현재나 미래에 더 나아질 수 있습니다. 반면 도덕이나 옳고 그름의 기준, 그리고 성경과 관련된 믿음 등에 관해 살펴보면 오히려 반대입니다. "성경은 과거에도 있었고 지금도 있습니다." 동일한 성경을 놓고 얼마나 잘 깨닫고 실행하며 하나님께 인정받는가에 관한 판단은 진화론적인 사고에 근거해서는..
질문 많은 신학대학 교수님들과 선교사님들은 NIV나 NLT를 추천합니다. KJV를 추천하지는 않던데 왜 그렇죠? 답변 대부분의 신학대학 교수님들과 선교사님들은 성경 원문과 번역에 관한 전문가가 아닙니다. 평범한 성도들과 다르게 신학을 전공했다고는 하지만 국내에서 성경 원문비평학을 제대로 전공하고 바른 지식을 전파하는 학자는 "거의" 없으며, 국내 신학대학과 대학원에서 원문비평학(혹은 사본학)을 가르치는 곳 역시 "거의" 없습니다. 심지어 대한성서공회에서 번역을 총괄하는 민영진 총무(전 감신대 교수)는 이렇게 말합니다. '사실을 말하자면, 세계성서공회연합회에 속한 각국 성서공회 번역실에서는 원본 선정 문제를 독자적으로 다루지 않습니다... 각국 성서공회는 신약 번역의 대본으로서 당대에..
질문 KJV버전은 고어체로 되어서 어렵기 떄문에 추천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던 영어로 좀 다른 부분들이 많아서 이해하기 어려울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답변 이런 주장은 을 사람들의 손에서 떼어놓으려는 비방일 뿐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우리말 어미의 고어체와 현대어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영접하나이다”(영접합니다), “기도하옵니다”(기도합니다) 등과 같이 어미의 차이가 단어의 이해를 어렵게 하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영어 의 경우를 비교해 보면, “찾다”는 뜻의 “findeth”(find), “구하다”는 뜻의 “asketh”(ask) 등과 같이 고어체와 현대어는 어미의 차이가 있지만 우리말의 어미 변화와 같은 수준입니다. 몇 가지 규칙에 따른 어미 변화만 있기..
질문 킹제임스성경이 번역이 잘 됐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인정하고 있지만, 그것만 옳다고 주장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봅니다. 킹제임스버전이 옳다고 주장하는 근거가 있다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답변 첫째는 "성경적 증거"입니다.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이며, 영감으로 기록되고 섭리로 보존되었다는 진리가 영어 성경 중에서 에만 확고하게 제시되어 있고, 다른 모든 현대 영어 번역본들에는 이 진리를 제거시키거나 약화시키고 있습니다. 둘째는 "역사적인 증거"입니다. 교회사를 통해서 구약과 신약성경이 전수된 경로를 확인하면 오직 영어 성경 중에서 만이 최초의 성경의 권위와 전통을 이어받았기 때문입니다. 간략하게 역사를 살펴보면, 구약성경의 경우 그 전승 경로가 다음과 같습니다. 하나님께서 기록 → 레..
질문 성경의 필사본들은 KJV(킹제임스성경)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말씀보존학회에서 KJV만을 고수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답변 질문자님이 들으신 말은 전혀 근거가 없는 말입니다. 현존하는 신약성경의 필사본들은 약 5,400여 개입니다. 이 중에서 90% 이상은 영어 이 옳다고 증거하고 있습니다. 의 근거가 되는 헬라어 을 “다수 본문” 혹은 “다수 필사본”이라고 부르는데, 그 이유가 성경 필사본들의 절대 다수가 헬라어 과 영어 을 지지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사실은 대표적인 성경 변개자인 커트 알란드, 브루스 메츠거 같은 학자들을 포함해서 대부분의 학자들이 모두 인정하는 사실입니다. 원문비평학자인 제인 하지스(Zane C. Hodges)는 이렇게 말합니다. "이러한..
질문 개역성경을 비롯해 수많은 성경 번역본들이 오류가 있다는 사실은 저도 인정합니다. 그런데 삭제, 첨가, 대체는 번역상의 문제이지 의도적인 성경 변개와는 상관없지 않습니까? 그 번역자들 또한 하나님을 믿는 사람들일 텐데 의도적으로 고쳤다는 게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답변 성경들이 서로 다른 것은 단순한 번역상의 착오가 아니라 의도적인 변개 때문입니다. 이런 일은 창세기 3장의 에덴 동산에서부터 사탄의 역사로 시작되었습니다. 창세기 3장에 나타난 성경 변개 방법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으며, 지금도 이와 같은 변개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성경 변개의 첫 번째 방법은 하나님의 말씀 중에서 일부를 “삭제”(ommision)한 것입니다. 창세기 3:2에서 2:16의 말씀이 삭제된 것을 볼 수..
질문 한글킹제임스성경은 고딕체랑 명조체가 있더군요. 같은 하나님이라는 단어여도 어떤 경우에는 고딕체가 어떤 경우에는 명조체가 쓰였더군요. 그리고 "주"라는 단어로 작은 글씨 주가 있고 큰 글씨 주가 있습니다;; 이렇게 번역하신 데에는 어떤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영어 에서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이름들의 첫 글자나 전체 글자를 대문자로 쓰고 있습니다. 반면 한글은 대소문자 구분이 없기 때문에 서체에 변화를 주어 본문체와 다르게 고딕체를 사용했으며, 그 의미에 따라 하나님의 이름들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습니다. 하나님(God, 창 1:1), 하나님(GOD, 창 15:2), 주(Lord, 창 15:2), 주(LORD, 창 2:4), 주 하나님(LORD God, 창 2:4), 주 하나님(L..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