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성경예시) 1)believe 예:약2:19,23, 행27:25, 롬4:3, 갈3:6, 요일5:10 2)believe in 예:요14:1, 행16:34, 딛3:8, 벧전1:21 3)believe on 예)요일5:10, 행16:31, 요6:35,47, 요7:38, 요12:44,46, 요14:12 성경을 보면 believe (God), believe in (God), belieive on (God) 세 가지의 용어가 나옵니다. 세 가지 용법의 의미상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답변 believe는 하나님께서 하신 말씀이나 하나님께서 보여 주신 증거를 믿을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질문자께서 예로 드신 약 2:19,23, 행 27:25, 롬 4:3, 갈 3:6, 요일 5:10이 그러..
『사랑하는 자여, 무엇보다도 네 혼이 잘됨같이 네가 번성하고 강건하기를 바라노라.』 질문 요한삼서 1장 2절은 영어로 다음과 같이 기록되었습니다. Beloved, I wish above all things that thou mayest prosper and be in health, even as thy soul prospereth. 여기서 soul을 혼이라고 번역하신 이유가 무엇이죠? 우리말로 혼이라고 번역하게 되면 무속신앙에서 말하는 죽어서 나타나는 그런 존재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영혼이라 번역되는 것이 맞지 않은가 싶습니다. 답변 영어의 soul은 "혼"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맞습니다. "영혼"은 영(spirit)과 혼(soul)이 결합된 말인데, 변개된 한글개역성경은 sou..
『하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물들은 생명이 있는 동물들과 땅 위 하늘의 넓은 창공에 나는 새를 풍성히 내라.” 하시며, 하나님께서 큰 고래들과 물들에서 풍성하게 나온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그 종류대로, 날개 있는 모든 새들을 그 종류대로 창조하시니라. 하나님께서 보시니 그것이 좋았더라.(창세기 1 : 20, 21) 질문 고래라는 단어를 히브리어 어휘집에서 찾아보니 '용, 뱀, 바다 괴물' 등의 뜻이라고 나와 있었습니다. 킹제임스 성경에서도 거의 대부분 용으로, 출애굽기에서는 뱀으로 번역했고, 창세기 1:21, 욥기 7:12에서는 고래라고 번역했습니다. 킹제임스 성경 외에는 거의 고래라고 번역을 하지 않더군요. 궁금한 점은 현대 성경 번역자들이 고래라는 번역을 거부하는 이유가 있습니까? 그리고 하..
질문 최근 인터넷과 일부 교회에서 "예수"라는 말은 틀린 번역이고 "예슈아"라는 번역이 맞다고 하는 것을 봤습니다. 예수라는 번역에 대해 개신교 전체가 성경을 변개시킨 카톨릭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들은 "예슈아가 구원자이시며, 참 하나님이시며, 창조주이시고, 하나님 아버지이시다."라고 하며, 자기 아들을 죽음에 내주는 이 가 누가 있겠냐고 합니다. 그 이유로 십자가에서 죽으신 분은 "예수"가 아니라 "아버지 하나님"이라고 말합니다. 예슈아의 가르침을 전하는 이 단체는 무엇이며 그들의 주장에 대하여 성경적으로 어떻게 보시는지요? 답변 “예수”는 히브리어 여호수아를 헬라어로 옮긴 이름입니다. 여호수아는 헬라어로 “이에수스”라고 하는데, 그것을 영어로는 Jesus라고 표현합..
『태초에 하나님께서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느니라. 땅은 형체가 없고 공허하며 어두움이 깊음의 표면에 있으며 하나님의 영은 물들의 표면에서 거니시더라.』(창세기 1장 1-2절) 『이는 그들이 이것을 고의로 잊으려 함이라. 즉 하나님의 말씀에 의해 하늘들이 옛적부터 있었다는 것과, 땅도 물에서 나왔고 물 안에 있었다는 것이니 이로써 이전에 있던 세상은 물이 범람해서 멸망하였느니라. 그러나 현재 있는 하늘들과 땅은 그 동일한 말씀으로 보존되어 있으되 경건치 아니한 자들의 심판과 멸망의 날에 불사르려고 간수되어진 것이니라.』(베드로후서 3장 5-7절) 질문 창세기 1장 1절에서는 하늘(단수)과 땅이 창조 되었습니다. 그런데 창세기 1장 2절에서 어떤 이유인지 심판을 받았습니다. 그러면 베드로후서 3..
질문 창세기 25 : 34 야곱이 에서에게 주매 에서가 먹으며 마시고 일어나서 갔으니 에서가 장자의 명분을 경홀히 여김이었더라 (개역한글) 그리고 나서 야곱이 에서에게 주었더니, 그가 먹고 마시고 일어나서 자기 길을 갔더라. 이같이 에서가 자기의 장자권을 경시하였더라. (한글킹제임스성경) Then Jacob gave Esau and he did eat and drink, and rose up, and went his way: thus Esau despised his birthright. (영어) 렌틸과 팥은 엄연히 다른 작물인데 렌틸을 왜 팥으로 번역했는지 궁금합니다. 렌틸과 팥은 같은 콩 종류이고, 렌틸을 먹어보신 분들 말에 의하면 팥과 비슷한 맛이 난다고는 합니다. 100년 ..
질문 안녕하세요.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에 대해 마태복음 2장과 누가복음 2장의 내용이 약간 다른 것에 대한 질문입니다. 많은 학자들이 누가복음은 예수님께서 베들레헴에서 탄생했을 때, 목자들의 경배를 받은 때이고, 마태복음의 탄생은 태어난지 약 2년이 지난 싯점으로 아기 예수님이 갈릴리에 거주했을 때라고 이야기 합니다. 그런 근거로 마태복음 2:11에서 예수님을 the young child라고 했고, 누가복음 2:16에서는 예수님을 the babe라고 했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똑같은 성경 누가복음 2:17에서는 예수님을 the child라고 하였습니다. 이걸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답변 마태복음 2장의 “child”는 16절의 “두 살부터 그 아래로 다 죽이니라.”는 ..
질문 시편 51:11,12 말씀과 시편 139:7 말씀을 보면 성령이 spirit(소문자)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사무엘상 16:14, 이사야 61:1 경우에는 Spirit(대문자)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소문자와 대문자 무슨 차이가 있죠? 답변 원래 킹제임스성경이 번역한 히브리어 맛소라 원문에는 대소문자가 없습니다. 또한 구약에서는 성령님을 다룰 때도 그분의 인격성과 신성을 강조할 때가 아니라 단지 하나님의 영으로서의 "능력, 역사, 기능" 등을 말할 때 소문자로 쓸 때가 있는데 질문하신 구절들이 바로 그런 경우들입니다.(출 31:3; 35:31, 시편 104:30; 139:7; 143:10 등) 다음은 고린도전서 2장 12절에 대한 럭크만 주석입니다. 『우리가 세상의 영을..
『그리하여 선지자 예레미야를 통하여 말씀하신 것이 이루어졌으니, 말씀하시기를 “그들이 은 삼십 개로 정한 자의 가격, 곧 이스라엘 자손 중에서 그들이 정한 그 가격을 가지고,』(마 27:9) 질문 이 말씀을 인용하실 때 "예레미야"라고 하셨는데 성경에서 예레미야가 이런 말을 한 것을 찾아 볼 수 없습니다. 다만 스카랴서에서 발견됩니다. 제가 못 찾은 걸까요? 아니면 잘못 인용된 것인가요? 답변 이것은 간단한 문제입니다. 스카랴는 그 내용을 말씀으로 "기록했지만" 예레미야는 "말"로만 했던 것입니다. 이러한 구절들에 대한 의심은 하나님께서 선지자들을 통하여 말씀하신 것이면 반드시 성경에 기록되어야 한다는 편견에서 비롯되는 것입니다. 예레미야가 그의 예레미야서에 기록하지 않았기 때문에 ..
질문 하나님께서는 창 9:1에서 노아에게 "다시 채우라"라고 명령하셨습니다. 이전에 있던 세상이 물로 멸망했으니까 다시 채워야 한다는 것이 이해가 됩니다. 그런데 창 1:28에서도 똑같이 "다시 채우라"라는 명령이 주어집니다. 세상이 창조되고 나서 노아 때처럼 뭔가 재앙이 일어나서 세상이 멸망한 적이 없는데 말입니다. "다시 채우라"라는 말은 분명 이전에는 "채워져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말씀하신 것이 분명합니다. 그런데 창 9:1과 창 1:28 두 상황에 같은 단어가 쓰인 것이 이상합니다. 게다가 개역개정판 성경을 보면 다시 채우라는 말씀은 찾아 볼 수 없습니다. 왜 그런 것입니까? 답변 "다시 채우라"라는 명령은 이전 세상이 심판으로 멸망했기 때문에 새로운 세상을 다시 채우라는 명령..
(그들이 그가 히브리어로 그들에게 말하는 것을 듣고 더욱 조용해지더라. 바울이 말하기를)(행 22:2) (And when they heard that he spake in the Hebrew tongue to them, they kept the more silence: and he saith,) (행 22:2) 질문 Hebrew tongue를 그냥 '히브리어'라고 번역을 한 이유가 있나요? '히브리 방언'이라고 구체적으로 번역하는 것이 맞는 듯 합니다. 왜냐하면 당시 대부분의 유대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유대인의 언어는 정통 히브리어가 아닌 아람어가 많이 섞인, 아니 어쩌면 일반 유대인들은 아람어를 더 많이 사용했습니다. 특히 예수님과 제자들은 오히려 아람어로 더 많이 대화를 했던 것으로 보입니..
『오히려 너희는 하나님의 나라를 구하라. 그러면 이 모든 것이 너희에게 더하여지리라.』(눅 12:31) But rather seek ye the kingdom of God; and all these things shall be added unto you. 질문 Kingdom이라는 단어는 "왕국"으로 번역되어야 하지 않나요? 왜 나라(nation)로 번역되었을까요? 성경의 주제는 이 땅에 왕국(Kingdom)이 실현되는 것이 아닌가요? 답변 영어 단어 kingdom은 왕국을 뜻하기도 하지만 동물계, 광물계처럼 “~계”를 이야기할 때도 있습니다. 우리말과 다른 뉘앙스를 갖고 있기 때문에 문맥에 따라 적절하게 번역해야 합니다. kingdom을 한글로 번역할 때 무조건 “왕국”이라고 하면 문제..
질문 22:8 And Abraham said, My son, God will provide himself a lamb for a burnt offering: so they went both of them together. 22:8 아브라함이 말하기를 "내 아들아, 하나님께서 자신을 번제에 쓸 어린 양으로 마련하실 것이라." 하고 두 사람이 함께 가더라. 현재 한글킹제임스성경에서는 위와같이, "하나님 = 번제에 쓸 어린 양"이라는 해석인데 이는 오류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올바른 해석은, "하나님께서 자기자신에게 번제에 쓸 어린 양을 마련하실 것이라"입니다. 맥락상으로도, 문법상으로도 "하나님=번제물"은 잘못된 해석이라 생각합니다. 답변 아브라함은 선지자로서 예언을 한 것입니다...
질문 성경에 보면 "환난"이라고 번역된 부분이 있고, "환란"이라고 번역된 부분이 있습니다. 어떤 것이 맞는지, 맞춤법의 문제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환란은 대환란을 가리키고, 환난은 인생의 고난을 가리킵니다. 문맥상의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철자법을 달리하여 번역했습니다. 『이는 그때에 대환란이 있으리니, 그와 같은 것은 세상이 시작된 이후로 지금까지 없었으며, 또 결코 없을 것이기 때문이라.』(마 24:21) 『이는 우리가 잠시 받는 가벼운 환난이 우리를 위하여 훨씬 뛰어난 영원한 영광의 비중을 이루어 가기 때문이라.』(고후 4:17) 관련도서 http://www.biblemaster.co.kr/shop/item.php?it_id=9791187227458 상품 상세보기 : 피터럭크만의 주석서 - 마태..
질문 우리말에는 성경이라는 단어가 하나인데(물론 성경, 성서) 영어성경 특히 KJV에서는 성경을 Scripture 라고 쓰이는데 그럼 Bible 과 Scripture 는 어떻게 다른가요? 또한 언제 어떻게 구별하여 사용되고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늘 답변해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답변 영어 Bible 은 코이네 헬라어인 βιβλιον (비블리온)에서 유래했으며, 책(Book)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Bible은 성경에 없는 표현입니다. 대신 성경은 자체적으로 Scripture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손으로 쓰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성경 곧 Scripture는 최초의 원문이 손으로 기록되고 그 뒤 손으로 베껴 쓴 필사본들을 통해 전수되고 번역된 하나님의 책이란 점을 알게 됩니다. 성경은..
질문 영어 지식이 부족해서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 하나님을 the God, 또는 the god이라고 불러선 안 됩니다. 이는 하나님의 아들들 및 이교도신을 부르는 행위 입니다. 헌데 보통명사인 lord 를 the Lord로 함으로서 예수그리스도를 주로 시인하게 되는데, 무관사 및 고유명사로 Lord를 사용했을 때 (Jesus is Lord) 어떠한 오류를 범하게 되는지 아직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다만 소유격 our를 사용했을 때 관사 the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our Lord, our father, our God (다소 애매)등은 사용함에 있어 시험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나님께 기도할 때 기도가 온전히 전해지기 위한 '화법(소위)'으로서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답변 미국..
질문 한글킹제임스성경 참고 서문을 참조하면 '이익을 취하는'이라는 작은 이탤릭체 부분이 번역과정에서 문법과 통사구조상 추가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 부분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영어 지식이 부족하여, which corrupt the word of God: 이라는 표현으로 그 범위가 분명한 듯 하고 '비유를 알지 못하는' 불신자들과의 성별도 충분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영어단어 corrupt 라는 단어가 '품질의 변형이나 오염' 뿐만 아닌 '악한 의도를 가진 부패'를 강조하기 때문에 단순히 '변개시킴으로써'가 아닌 '변개시킴으로써 이익을 취하는'으로 명시해주신 것인가요? 하나님의 순수한 말씀으로 구원받게 해주신 이송오목사님과 말씀보존학회에 감사드립니다. 답변 "변개"( corrupt)에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