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성경도 다양한 원문들이 있지 않았습니까? 그중에서 어떤 성경을 중심으로 번역하신 것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한글킹제임스성경 구약의 번역은 처음부터 히브리어 맛소라 원문을 영어로 온전히 전수한 에서 번역하였고, 신약은 처음에 헬라어 표준원문에서 직역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과 대조하여 에 철저하게 어휘를 맞추었고, 구약의 어휘는 히브리어 맛소라 원문과 비교, 투영시킴으로써 히브리어, 헬라어, 영어를 한글로 번역하는 데 불가피하게 생길 수 있는 언어의 간격을 좁히려고 노력하였습니다. 또한 굳이 번역의 원칙이라고 내세워 틀을 먼저 짜놓고 끼워 넣는 식의 번역을 탈피하였고, 표현기법에 있어서 이전 것보다 더 낫다고 판단되면 과감하게 선택하였습니다. 으로 익숙해져 버린 문화적 및 전통적 통..
질문 하나님께서 보존하신 성경의 맥이 어떻게 전수되어 왔는지 궁금합니다. 최초로 기록된 원문이 지금까지 오게 되는 전체적인 그림을 그려주세요. 답변 신약성경의 원문은 사도 시대 이후 주로 소아시아의 지역 교회들과 성도들에게 산재되어 있었습니다. 이 사본들이 신실한 성도들의 손에 의해, 믿는 사람들이 최초로 그리스도인이라 불렸던 안티옥에서 발칸 반도를 거쳐 알프스를 넘어 유럽으로 옮겨졌고, 독일에서 영국으로 들어갔습니다. 이 원문은 악한 세력들의 성경 변개 시도와 갖은 박해 속에서도 한 번도 그 맥이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옴으로써 전통원문(Traditional Text)이란 명칭이 붙게 되었습니다. 초대 교회에서 사용된 이 성경은 A.D. 157년 북부 이태리 교회에서, A.D. 177..
질문 성경의 원문이 쓰여진 이후로 누군가가 바꾸어 고쳤다면 최초로 그렇게 변개를 시킨 사람이 있지 않겠습니까? 그러한 역사에 대해서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구약성경은 히브리어 맛소라 원문으로 큰 논란 없이 보존되어 왔으나, 신약성경은 A.D. 250년경부터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을 아버지 하나님과 동등하게 인정하지 아니한 필로(Philo, B.C. 20-A.D. 50)와 오리겐(Origen, A.D. 184 -254), 또 그의 추종자들에 의해 상당 부분이 변개되었습니다. 그들에 의해 변개된 성경에서 유세비우스가 콘스탄틴의 명을 받고 50권의 사본을 복사한 것이 확산되어 변개된 사본의 씨가 되었습니다. 유세비우스가 복사한 사본에서 제롬이 라틴벌게이트를 만들어냄으로써 카톨릭 성경의 ..
질문 아무리 번역이 잘 되었다고 한들, 사람이 번역한 것에는 반드시 한계가 있는 법입니다. 말씀보존학회에서 출간한 성경도 마찬가지죠. 번역이 잘 되긴 잘 되었으나 그것을 절대적인 표준 성경이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절대적인 표준이라고 자신할 수 있는 성경은 이 세상에 존재할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말씀보존학회에서 한글킹제임스성경을 표준 성경이라고 주장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답변 성경 기록자들과 예수님께서는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의 절대적인 권위를 증거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자신을 시험하는 사탄을 물리치실 때 성경을 인용하셨으며(마 4:4,7,10), 또한 부활의 문제에 대하여 바리새인들의 잘못을 책망하여 바로잡으시고 사두개인들에게 대답하실 때(마 21:42; 22:29), 성전을 깨끗하게 ..
질문 말씀보존학회는 개역성경 등 다른 성경을 쓰는 것에 대해서 도대체 왜 비평을 합니까? 어떤 성경을 쓰든 무슨 상관이죠? 어떤 성경을 쓰든 예수님 믿고 신앙생활만 잘 하면 되지 왜 성경을 가지고 문제를 삼는 것입니까? 답변 경기를 하는 사람이 규칙대로 하지 않으면 상을 받을 수 없듯이(딤후 2:5) 하나님을 믿고 신앙생활을 하는데도 따라야만 하는 규칙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성경 말씀입니다. 우리의 신앙이 하나님께 인정받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성경과 일치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성경은 신앙생활과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현재 통용되는 여러 한글 번역본들에는 삭제되고 첨가된 단어들과 구절들이 들어 있음은 물론, 오역된 곳이 매우 많습니다. 현재 사용되는 성경들을 비교해 보면 신구약 전체에..
질문 한글킹제임스성경을 쓰는 어떤 사람이 자신에게는 개역성경이 아니라 한글킹제임스성경이 최종권위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제가 알고 싶은 것은 최종권위가 어떤 뜻을 가지냐는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최종의 권위자이지 않습니까? 그런데 성경에 권위를 붙인다는 표현이 좀 이상한 것 같습니다. 답변 성경이 어떤 성도에게 최종권위가 된다는 것은 그 사람의 믿음과 실행의 모든 근간이 성경에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이 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권위에 순종하는 사람은 당연히 하나님께서 기록하신 성경의 권위 또한 존중하고 순종하는 법입니다. 그리스도인이 직면하는 모든 문제에 대해서 성경은 해답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성경을 바로 알고 성경대로 실행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 글을 읽고 계신 독자님께서는 어떤..
질문 영어로는 킹제임스성경이 최초이지 않습니까? 그런데 왜 우리나라는 애초에 킹제임스번역본으로 번역이 안 되었을까요? 그리고 뒤늦게 나왔다고 한들 왜 사람들은 킹제임스성경을 안 쓰는 거죠? 답변 1611년 이후로 현재까지 영어 에서 약 80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습니다. 그러나 우리 나라는 처음에 성경이 번역될 당시부터 변개된 원문과 번역본들을 근거로 해서 우리말 성경이 번역되었습니다. 한글로 된 성경이 번역되던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는 이미 전 세계적으로 변개된 원문이 신학교들와 성서공회들에 악영향을 주기 시작했던 때입니다. 시대의 조류가 자유주의 신학의 확산과 함께 변개된 성경들이 확산되던 바로 그 시기에 우리 나라에 성경 번역이 시작되었고, 그것이 교단 중심의 한국 교회..
질문 사도행전19:2을 읽다가 궁금한 것이 있어서 이렇게 문을 두드립니다. 개역성경은 너희가 [믿을 때에] 성령을 받았느냐고 말씀하시고 킹제임스성경은 너희가 [믿은 후에] 성령을 받았느냐고 말씀합니다. [ ] 안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요...? 예수님을 영접함과 동시에 성령께서 들어오신다는 것인지 예수님을 영접한 후에 성령께서 들어오신다는 것인지 ...아니면 다른 뜻이 있는 것인지요...? 답변 의 "since"가 개역성경을 비롯한 변개된 성경들에서는 "when"으로 바뀌었습니다. 바울의 질문은 "과거의 경험"을 묻는 것이기 때문에 개역성경의 "너희가 [믿을 때에] 성령을 받았느냐"는 번역은 전혀 시제가 맞지 않는 오역입니다. 사도행전은 과도기적인 책입니다. 이스라엘에서 교회로, 천국복음에..
질문 성경 어디를 보아도 사탄의 이름이 루시퍼라는 구절은 없습니다. 사탄의 타락이라는 이사야 14장도 마찬가지입니다. 계명성이라고 되어 있지 루시퍼라고는 안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많은 성경 주석이 여기서 계명성이 루시퍼를 뜻한다고 합니다. 근거가 있는 것인지요? 가브리엘, 미카엘 같은 천사들의 이름은 성경에 기록되어 있지만 루시퍼라고 기록된 성경은 없는 것 같은데 어디에 근거를 두고 이야기 하는 건가요? 답변 지금 인용하신 구절은 개역성경을 인용하신 것이네요. 개역성경에는 계명성이라고 되어 있는데, 계명성은 사실은 새벽별을 말한 것입니다. 이는 계시록 22:16을 보면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개역성경이 계명성이라 번역한 것은 오역입니다. 문맥은 분명히 사탄을 말하고..
질문 N.I.V 성경에는 오류가 있는 것 같습니다. 사무엘상 13장 1절에 "사울이 왕이 될때에 사십세"라고 적혀 있습니다. 영문판을 보면 "Saul was thirty years old when he became king...."이라고 되어 있구요. 어느 것이 맞는지요 ? 킹제임스 버전에는 어떻게 되어 있나요? 답변 1. 삼상 13:1에 나타난 NIV와 개역성경의 변개에 관하여 NIV의 삼상 13:1은 {Saul was thirty years old when he became king, and he reigned over Israel forty two years.}라고 번역되어 있는데, 여기서 "삼십"(thirty)과 "사십"(forty)은 어떤 히브리어 성경 필사본들에도 없는 단어이며,..
질문 말씀보존학회에서는 재창조를 가르치는 것으로 알고 있고, 창세기의 replenish 단어의 뜻을 '다시 채우고'로 해석하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같은 1611 킹제임스 성경을 번역해 논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출판한 성경에서는 replenish를 그냥 '채우고'로 번역을 했으며 그 이유로 1611 킹제임스 성경이 출판되었을 때는 replenish의 뜻이 '채우다'이고 '다시 채우다'의 의미는 차후에 의미가 확대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그 근거로 유명한 영어사전을 들고 있습니다. 말씀보존학회에서 이 용어를 번역할 때 1600년대의 영어용례를 고려하셨는지 알고 싶고, '그리스도 예수 안에'의 위 번역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재창조에 대한 교리는 비단 replen..
질문 한킹 진영에 있는 사람들은 한글킹제임스성경만이 바른성경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렇다면 개역성경은 없음 구절이 있으니까 그렇다고 쳐도 흠정역 성경은 없음 구절이 없지 않습니까? 한글킹제임스성경만 옳다고 주장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답변 한글킹제임스성경이 바른 성경인 이유에는 여러 이유들이 있지만 열 가지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 1)한글킹제임스성경은 섭리로 보존하신 올바른 원문에서 번역되었습니다. 2)한글킹제임스성경은 우리 말로 번역된 가장 정확하고 권위있는 성경입니다. 3)한글킹제임스성경은 삭제나 첨가된 부분이 없으며, 없음이라는 구절이 없습니다. 4)한글킹제임스성경은 필라델피아 시대 종교개혁과 부흥을 가져온 영어킹제임스성경의 맥을 잇습니다. 5)한글킹제임스성경은 이 성경이..
질문 "예수께서 이 말씀을 하실 때에 한 직원이 와서 절하고 가로되 내 딸이 방장 죽었사오나 오셔서 그 몸에 손을 얹으소서 그러면 살겠나이다 하니" 마태복음 9장 18절 말씀입니다. 그런데 "방장" 죽었다는 표현이 잘 이해가 안 됩니다. 답변 이 구절은 예수님께서 회당장 야이로의 딸을 살리시는 사건인데, 개역성경이 아닌 한글킹제임스성경으로 보시면 그 뜻이 무엇인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한글킹제임스성경 마태복음 9:18은 이와 같습니다. 『주께서 이러한 것들을 그들에게 말씀하고 계시는데, 보라, 어떤 관원이 그에게 와서 경배하며 말하기를 "제 딸이 방금 죽었나이다(even now dead). 그러나 오셔서 그 아이에게 안수하여 주소서. 그러면 그 아이가 살아나겠나이다."라고 하더라.』 ..
질문 성경을 봐야겠다는 마음에 서점에 갔다가... 우연히 한글킹제임스성경을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총신대에 다니는 친구가 왜 한글킹제임스성경을 보냐고 뭐라고 하더군요... -_-;;;; 그래서 너는 어떤 성경을 보냐고 물었더니... 원어 성경을 본다더군요... 번역이 온전할 수 없다며... 원어성경을 보는게 가장 좋은데 그렇지 못한 사람은 표준새번역이 보기에 가장 좋을 거라고 추천합니다... 뭐라고 말해주고 싶었는데... 성경실력이 짧아서... ;;;; 원어성경을 봐야 성경을 더 잘 알 수 있는 건가요? 번역은 온전할 수 없는건가요? 한국말로 된 성경의 필요성에 대해서... 좀 알려주세요... 답변 하나님께서는 그분 자신을 성경을 통해서 계시하십니다. 우리는 성경 말씀을 통해서 하..
질문 1948년 발견되어 성서 사본학 연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사해사본을 어떻게 보십니까? 맛소라 사본과는 열 군데 정도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아 결과적으로 맛소라 사본이 정확하다는 것을 확신케 한 사해 사본은 어떻게 보십니까? 답변 한 마디로 말하면, 사해사본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바와는 다르게 훌륭한 필사본이 아닙니다. 사해사본은 에스더, 느헤미야, 그리고 소선지서의 일부를 제외한 구약 성경이 발견된 상태입니다. 기본적으로 히브리어로 기록되었는데, 레위기, 욥기 등은 시리아어(아람어)로 기록되었으며, 헬라어로 기록된 약간의 필사본들이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이 사해사본을 만든 사람들은 엣세네 파(Essenes)로, 이 집단은 구약 성경의 율법에 따른 희생제사와 신약의 메시야를 ..
질문 원래 우리나라에 들어왔던 선교사들은 전통적인 표기인 하느님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서북 방언의 영향과, 모음 변화로 인해 하나님으로 바뀐 것으로 압니다. 하느님이라고 쓰는 것이 옳다고 보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답변 "하나님"이라고 하는 것이 맞고 "하느님"이라고 하는 것은 성경적이지 않습니다. 1. 국문법적으로 봤을 때 성경 용어로 사용되는 “하나님”이라는 표현은 소위 기독교(개신교)에서 전용되는 것입니다. 반면 ‘하느님’은 우리 나라에서 신에 대한 표현으로 오랜 동안 사용되면서 정착된 것으로 성경의 관점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국어 문법적으로 보면 “하나님”이나 “하느님”이나 같습니다. 왜냐하면 초기 성경이 번역되던 1800년대 말과 1900년대 초에는 (1)하나..
질문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하나님의 이름을 표기하는 것이 야훼가 맞나요? 여호와가 맞나요? 사실 어느 것도 완벽하지 않다는 것은 압니다. 하지만 그래도 원음에 가깝다는 것은 있지 않겠습니까? 많은 성서학자들은 야훼쪽이 가깝다고 합니다. 어느 쪽입니까? 답변 신학자들은 이 말을 "테트라그라마톤"(Tetragramaton)이라고 부릅니다. 히브리어 자음 네 개로 이루어졌다는 뜻입니다(요드, 헤, 와우, 헤). 이 단에는 맛소라들의 히브리어 모음부호들이 제시되지 않으면 그 단어가 지니고 있는 것과 같은 발음을 표시할 수 없습니다. 자음만으로는 발음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유대인들은 모음 부호 하텦, 파타, 카메츠를 붙여 "아도나이"로 읽습니다. 그러나 이 단어에 대해서 모든 ..
질문 잠언을 읽다가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합니다. 3장 14,15,16,17,18절과 4장 6,8,9절 등을 보면 한글 번역에는 '그'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영어성경에서는 'she' 나 'her'로 되어있습니다. 왜 그런 거죠? 지혜를 지칭하는 말도 그렇게 되어 있던데...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개역성경은 "그"라고 번역했지만, 한글킹제임스성경에서는 "그녀"로 번역 되어있습니다. "그녀" 라고 번역된 이유는 지혜를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 "chokmah"가 여성명사이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규칙 여성명사에는 어미에 "ah" 가 붙습니다. 잠언에서 "지혜"는 의인화 되어서 사용되는데, 이는 "주 예수 그리스도"를 나타냅니다(잠 8장 참조). 예수님께서는 누가복음 11:49 ..
『너희가 레위인들에게 줄 성읍들의 외곽 지역들은 성벽부터 밖으로 주위 일천 큐빗이라. 너희는 성읍 밖으로부터 동편으로 이천 큐빗, 남편으로 이천 큐빗, 서편으로 이천 큐빗, 북편으로 이천 큐빗을 측량하되, 성읍은 한가운데 둘 것이니라. 이것이 그들에게 성읍들의 외곽 지역이 될 것이니라.』(레 35:4-5) 질문 민수기 35장 4-5절에 레위인들에게 줄 성읍에 관한 규정이 나옵니다. 그런데 개역판에는 "이 천 규빗" 개역개정판에는 "천 규빗" 기타 번역성경에는 "이 천 규빗" 공동번역 개정판에는 "천 규빗" 서로 다른 번역때문에 혼란스럽고, 또한 4절과 5절을 함께 읽어보면 앞에는 1000규빗이다가 5절에는 2000규빗으로 하는데... 2000규빗으로 봐야 하지 않는가? 생각도 들고요... 개역..
질문 안녕하세요 저는 일반 평신도 형제입니다. 저는 현재 히브리서 6장을 읽고 있습니다. 그런데 킹제임스 성경을 우리말로 번역한 1-2절 부분에 대해 의문이 있습니다. 말씀보존학회는 본문을 "그러므로 우리가 그리스도에 대한 교리의 기초를 떠나 온전함을 향해 나아가야 하리니, 죽은 행실들에서 회개함과 하나님을 향한 믿음과 침례들과 안수함과 죽은 자들의 부활과 영원한 심판에 관한 교리의 기초를 다시 놓지 말지니라."라고 번역했습니다. 이 "교리의 기초를 떠나 온전함을 향해 나아가야 하리니"와 "교리의 기초를 다시 놓지 말지니라"라는 부분에 대한 번역이 저게는 왠지 어색한 느낌과 더불어 혹 본문의 의미가 잘못 해석될 가능성이 있지않나 생각되어집니다. 본문에 씌어진 의미를 저같은 경우는 전반부는 이미 히..
『사십 년 후의 일이라. 압살롬이 왕에게 고하기를 “내가 청하오니, 나로 가서 내가 헤브론에서 주께 서원한 내 서원을 갚게 하소서.』(삼하 15:7) 질문 사무엘하 15장 7절에 "사십 년 후의 일이라"는 구절이 다윗의 치리 기간이 모두 40년이라는 점을 보았을 때 이해가 되지 않는군요. 그래서 개역성경은 4년이라고 번역하고 있는데 이게 맞지 않을까요? 답변 개역성경을 비롯한 한글 성경들과 NIV를 비롯한 영어 성경들이 “4년”이라고 번역하고 있으나, 모든 히브리어 맛소라 원문과 필사본들은 과 같이 “40년”이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번역본들은 히브리어 원문을 무시한 채 편견과 추측에 따라 번역하여 성경을 변개시킨 것입니다. 다른 변개된 성경들의 번역자들은 사무엘하 15:7..
질문 사도행전 7:45에서 개역성경에는 “이방인의 땅을 점령할 때에 여호수아와 함께 가지고 들어가서”(개역성경)라고 되어 있는데, 에는 예수로 되어 있습니다. 예수로 되어 있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그 당시에도 예수님이 계셨나요? 답변 에는 『우리 조상이 또한 물려받아 하나님께서 우리 조상의 면전에서 쫓아내신 이방인들의 땅으로 예수와 함께 가지고 와서 다윗 때까지 이르니라.』라고 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지식으로 “여호수아”라고 되어야 할 것 같은데 “예수”라고 되어 있는 구절이 두 구절 있는데, 한 군데가 여기 사도행전 7:45이고, 또 한 군데는 히브리서 4:8입니다. 『만일 예수가 그들에게 안식을 주었더라면 하나님께서 그 후에 다른 날을 말씀하지 아니하셨으리라』(히4:8)..
질문 흠정역 성경은 wine을 포도주와 포도즙으로 구분해 번역했습니다. 창세기 14장에 나오는 멜키세덱은 앞으로 오실 예수 그리스도의 예표인데 이런 인물이 성도에게, 그것도 믿음의 조상인 아브라함에게 술을 준다는 것은 신학적으로 합당하지 않다고 합니다. 요한복음 2장의 카나 혼인 잔치, 주의 만찬 등에 쓰이는 wine도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왜 흠정역 성경처럼 포도즙이라고 안 하고 포도주라고 번역하셨는지요? 답변 우리 말로는 포도주와 포도즙이 발효된 유무에 따른 구분이 되지만, 킹제임스성경에서는 이 둘을 모두 wine 으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문맥에 따라서 그것이 발효된 술인지 즙인지를 구분해야 할 뿐입니다. 킹제임스성경이 그렇다면 킹제임스성경의 한글역본은 당연히 포도주라 번역해 놓고,..
『애통하고자 하는 자들, 곧 그 날을 저주하는 자들이 그 음성을 저주하였더라면』(욥 3:8) 질문 욥기 3장 8절을 맛소라 제2대 랍비 성경(벤카임)으로 보니 '리브야탄' 이라고 나옵니다. 왜 리비야단이 여기에 나옵니까? 왜 이게 애통하고자하는 자들이라고 번역되었을까요? 답변 최초에 성경이 기록될 때 사용된 히브리어나 헬라어의 정확한 의미를 알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대부분의 경우 유명한 학자들이나 기관에서 만든 원어사전을 찾습니다. 그러나 평이한 히브리어나 헬라어 단어들은 물론, 첨예한 문제가 결부된 독특한 단어들이나 성경 전체에서 한 번만 나오는 단어들 등 많은 경우에 현대 학자들이 만든 원어 사전은 정확한 의미를 알려 주거나 진리를 깨닫지 못하게 합니다. 현대 학자들, 특..
질문 KJV 이후 New KJV와 RV, RSV 등등이 나왔습니다. 이 성경들은 어떻게 번역이 이루어졌는지 그리고 바른 성경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시내사본과 바티칸사본(부패한 알렉산드리아 계열의 원문 - 카톨릭에서 선택한 원문이다.)을 근거로 1881년 영국의 웨스트코트와 홀트가 희랍어 신약 사본을 만들게 되는데 여기서 영어 개역본(RV, 1884년)과 개역표준역본(RSV, 1952년)등 변개된 성경이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뉴킹제임스성경(NewKJV, 1982년)도 마찬가지로 같은 계열에서 나왔다고 보면 됩니다. 1970년 이후 신약 원문비평 분야의 일각에서 한 가지 변화가 일어났는데, 그것은 변개된 알렉산드리아 원문으로 을 비평하고 고치던 것에서 헬라어 이나 으로 을 공격하는 기이..
질문 불을 붙여서 필리스티아인들이 아직 베지 않은 곡식밭으로 들여보내 곡식단과 베지 않은 곡식과 포도원과 올리브를 함께 불살랐더라. And when he had set the brands on fire, he let them go into the standing corn of the Philistines, and burnt up both the shocks, and also the standing corn, with the vineyards and olives. 답변 일반적으로 영어 "corn"의 뜻이 "옥수수"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옥수수와 이것을 가공해서 만든 제품들이 일반화되어 있기 때문에 보통 "corn"이라고 하면 "옥수수"를 떠올리게 되는 것입니다. 이것은 또한 미국식 영어와..
질문 성경책을 읽는 도중 구절의 나뉨에 다른 점이 있어 질문을 드립니다. [한글 킹 제임스 성경 초판 일쇄 발행 : 2006년 6월 12일] (롬 15 : 18) 그리스도께서 이방인들을 순종하게 하시려고 나를 통하여 이룩하신 것들 외에는 어떤 것도 내가 감히 말하지 아니하겠노라. 그것들은 말과 행위로, 능력있는 표적들과 이적들을 통하여, 하나님의 영의 능력으로 이룩하신 것이라. (롬 15 : 19) 그리하여 내가 예루살렘으로부터 일루리쿰 근방까지 그리스도의 복음을 온전히 전파하였노라. [한글 킹 제임스 큰 글자 성경 초판 1쇄 발행 : 2009년 3월 31일] (롬 15 : 18) 그리스도께서 이방인들을 순종하게 하시려고 나를 통하여 이룩하신 것들 외에는 어떤 것도 내가 감히 말하지 아..
『이삭이 거기서 오래 거하였는데 필리스티아인들의 왕 아비멜렉이 창에서 밖을 내다보니, 보라, 이삭이 그의 아내 리브카를 애무하고 있더라.』(창 26:8) And it came to pass, when he had been there a long time, that Abimelech king of the Philistines looked out at a window, and saw, and, behold, Isaac was sporting with Rebekah his wife. 질문 킹제임스영어버전에는 'was sporting with' 즉 "어울려 논다"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글킹제임스성경은 애무한다고 번역해놓았습니다. 번역 시 영어킹제임스성경을 기초로 하지 않고 헬라어 사본을..
질문 열왕기하 11장 21절을 보면 요아스(개정)와 여호아스(한킹)가 달라서 혼란스럽습니다. 열왕 11장 이후에 계속 요아스와 여호아스가 번갈아 나와서 난감합니다. 둘은 동일 인물인가요? 답변 1. “요아스”의 다른 이름 “여호아스” 요아스(Joash)는 여호아스(Jehoash)라고도 불리는 동일한 한 사람인데 두 개의 이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둘 다 기록된 것입니다. 열왕기하 11:2,3에서는 “요아스”로 기록되었는데, 질문하신 것처럼 같은 장의 마지막 절에서는 “여호아스”로 기록되었습니다(왕하 11:21). 이 구절만이 아니라 열왕기하 12장에서는 줄곧 “여호아스”로 기록되었다가(왕하 12:1,2,4,6,7,18) 12장 후반부인 19,20절에서 다시 “요아스”로 기록됩니다. 또 ..
질문 KJV 원문에 사도행전의 제자들에게 임했던 성령은 (Holy Ghost)로 사도행전 이후에 모든 신약성경에서 영은(Spirit)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한글킹제임스성경에서는 그리스도의 영, 하나님의 영,양자의 영으로 표기된 경우에만 구분이 되어 있는 것 같고 그 외에 "Spirit" 과 "Holy Ghost" 모두 성령으로 번역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사도행전 2장 4절안에도 Holy Ghost 와 Spirit 의 두 영이 표기되어 있는데 한글성경에는 위의 절에서 두번 모두 "성령"으로 번역되어 있는 것이 궁금합니다. 영어성경에는 사도행전 이후부터 계시록까지 Holy Ghost 는 없는 것 같고 Spirit of ..으로 되어 있는데 하나님의 거룩한 영안에서 진리로 인도하시는 영이신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